반응형
[마이클 왈저의 정의와 다원적 평등] - 책 리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책으로 읽는 정치

[마이클 왈저의 정의와 다원적 평등] - 책 리뷰

마이클 왈저의 정의와 다원적 평등입니다! 저번에 소개드린 정의론과는 조금 다른 종류의 책인데요 마이클 왈저는 세계는 각자 다른 정의와 분배적 정의에대해서 획일적이고 보편적으로 통일적으로 찾고자 여러 가설을 설정하고, 탐구하는것은 잘못되어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이어, 그는 공동체별로 그 공동체에 맞는 정의가있으며, 더불어 그 획일적인 정의를 주장하고 찾고자하는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죠, 만일 한국이라면 한국 나름의 정의가있고, 미국이라면 미국 나름의 정의가 있는것처럼, 학교도 학교 나름의 정의가있고, 직장이라면 직장 나름의 정의가 있는것처럼, 각 공동체별로 그에대한 획일적인 정의를 주장하기엔 힘들고 각 공동체별로 그들 나름의 정의가 있다는것이죠, 이것을 다원적인 정의라고 이야기하는것입니다. 사회..

2021.02.19 게시됨

[정의론] - 책 리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책으로 읽는 정치

[정의론] - 책 리뷰

정의란 무엇일까요? 공정함이란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정확하게 알지 못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솔직히 물었을때 정확히 이야기하시긴 힘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정의"란 무엇이다! 라고 말하는것보다는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선 이렇게 해아한다! 라고 주장하는 도서는 있습니다. 바로, 존 롤스의 정의론입니다. 잘타고난놈이 잘되는것이 어찌보면 불공정한 현실이죠. 부자의 자식은 부자가되고... 심지어 부자는 망해도 3대는 간다~라고 하는 말도있고요. 우리 삶은 당연한 불공정에 첫째로 마주합니다. 과연 여러분의 출신 성분은 "공정"한가요? 돈없고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인프라가 부족한 시골에 태어난 "이씨"와 돈많고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인프라가 풍부한 강남에 태어난 "박씨"는 공정한걸까..

2021.02.18 게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