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 읽는 정치
기능론과 갈등론, 그리고 상징적 상호작용론
기능론이란, 거시적인 관점을 통해, 사회를 유기체, 즉 살아있는 생물로 보는 관점입니다. 살아있는 생물은 각 장기로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된 장기를 통해 살아가듯이. 사회를 살아있는 생물로 본다는 것 입니다. 인간의 장기의 경우는 한 장기라도 없다면, 제대로 살아가기 어렵습니다. 또한 장기가 존재하면서, 인간이 살아가고, 생명을 유지하는데 이러한 장기가 큰 역할을 합니다. 즉, 이것을 그대로 사회에 붙이면됩니다. 사회는 즉 살아있는 생명체이고, 사회는 그 사회속을 받치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 전체의 유지와 존속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겁니다. 또한, 이러한 사회의 기능이나 역할은 사회적으로 합의된 것 이라고 보는것인데요, 만약 CEO나 회사의 고위급들이 돈을 많이받고, 환경미화원, 일용직 노동자 등, 그런 ..